통상임금, 그냥 월급이랑 다르다고요?! 🤔💰
"월급=통상임금"이 아니라니까요?! 😱
많은 분들이 착각하는 개념이 하나 있습니다.
"통상임금? 그냥 내가 받는 월급 아냐?"
NO NO NO~! ❌❌
통상임금은 단순한 월급 개념이 아니라 법적으로 정해진 기준입니다!
이 개념이 중요한 이유?
퇴직금, 연장근로수당, 육아휴직수당 같은 각종 수당의 기준이 되기 때문이쥬!
"그럼 도대체 통상임금이 뭐길래 이렇게 중요한 건지?"
오늘 완전 쉽게! 확실하게! 정리해 드리겠슴다! 💡
통상임금이란? 🤔 기본 개념부터!
"월급이랑 뭐가 다르길래?"
일단 통상임금이 뭔지부터 짚고 갑시다!
✅ 통상임금이란?
👉 근로계약에 따라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기본급 + 고정수당
여기서 핵심은 "정기적"이라는 것!
즉, 매달 일정하게 지급되는 금액만 포함된다는 거죠.
✅ 통상임금 포함 항목
✔ 기본급
✔ 직책수당, 직무수당 (고정적으로 지급될 경우)
✔ 위험수당 (정기 지급 시)
✔ 상여금 (근로계약서에 명시된 정기적 지급분)
✅ 통상임금 제외 항목
❌ 연장·야간·휴일근로수당 (근무 시간에 따라 달라짐)
❌ 식대, 교통비 (고정 지급이 아닐 경우)
❌ 성과급, 인센티브 (일정하지 않음)
❌ 경조금, 복리후생비 (근무와 직접 관련 없음)
즉, 내가 받는 전체 월급이 아니라 고정적으로 받는 급여만 포함된다는 점! 🔥
통상임금, 어디에 사용될까? 📌
자, 그럼 이 "통상임금"이 왜 중요한지 한번 봅시다.
이게 각종 수당 계산의 기준 금액으로 사용되거든요!
1️⃣ 연장·야간·휴일근로수당
야근, 주말 근무하면 추가 수당 받으셔야죠?!
이 추가 수당도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.
👉 추가근로수당 = 통상임금 × (연장/야간/휴일근로 가산율)
✅ 연장근로수당 (야근) = 통상임금 × 1.5배
✅ 야간근로수당 (밤 10시~새벽 6시 근무) = 통상임금 × 1.5배
✅ 휴일근로수당 (주말·공휴일 근무) = 통상임금 × 1.5배 (8시간 초과 시 2배)
즉! 통상임금이 높을수록 야근수당도 커진다! 💸
2️⃣ 퇴직금 계산
퇴직할 때 받는 퇴직금도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계산!
그냥 "월급 × 몇 년"이 아니라니까요!
👉 퇴직금 = (1일 평균임금 또는 통상임금 중 높은 금액) × 30일 × 근속연수
✅ 퇴직 3개월 전 급여가 통상임금보다 높다면? → 평균임금 기준 적용
✅ 통상임금이 더 높다면? → 통상임금 기준 적용
즉! 통상임금이 낮으면 퇴직금도 줄어든다! 😱
3️⃣ 육아휴직수당
육아휴직수당도 통상임금의 80%로 지급됩니다.
👉 육아휴직수당 = 통상임금 × 80% (최대 150만 원)
✅ 첫 3개월은 100% (최대 280만 원)
✅ 이후 80% (최대 150만 원, 최소 70만 원)
즉! 통상임금이 높으면 육아휴직수당도 많아진다! 🔥
4️⃣ 해고예고수당 & 휴업수당
만약 회사에서 갑자기 해고한다? 🤬
해고예고 없이 해고하면 해고예고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!
👉 해고예고수당 = 통상임금 × 30일
또한, 회사 사정으로 쉬게 될 경우 받는 휴업수당도
👉 휴업수당 = 통상임금 × 70%
즉! 통상임금이 낮으면 받을 수 있는 보상도 줄어든다! 😭
통상임금, 왜 중요할까? 🤔
이제 감이 오셨쥬?
내가 받는 각종 수당이 통상임금에 따라 결정된다는 거!
✅ 통상임금이 높으면?
✔️ 연장근로수당 UP!
✔️ 퇴직금 UP!
✔️ 육아휴직수당 UP!
✔️ 해고예고수당, 휴업수당도 UP!
✅ 통상임금이 낮으면?
❌ 추가 수당, 보상금 전부 DOWN! 😭
그러니까, 회사에서 통상임금을 인위적으로 낮추는 꼼수를 쓰는지 체크하는 게 중요합니다!
통상임금 제대로 받으려면?! ✅
혹시 "내 월급 중 뭐가 통상임금에 포함되는지 모르겠다!" 싶다면?
다음 체크리스트를 확인해 보세요!
🔹 내 월급 중 통상임금 포함 항목 확인하기
🔹 인사팀에 내 통상임금 기준 문의하기
🔹 계약서에 명시된 급여 구조 살펴보기
🔹 통상임금이 적절하게 계산되고 있는지 비교하기
특히, 퇴사 직전 통상임금을 조정하는 꼼수를 쓰는 경우도 있으니 조심하세요! ⚠️
통상임금, 결국 돈이다! 💰🔥
통상임금이 단순한 "월급"이 아니라는 거, 이제 아셨쥬?
이게 퇴직금, 연장근로수당, 육아휴직수당 등등
내가 받을 돈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는 사실!
그러니까 내 통상임금이 정확하게 계산되고 있는지 꼭 확인하세요!
혹시 더 궁금한 점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~! 😆
'노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민연금, 사업장가입자 vs 지역가입자 뭐가 다를까? (0) | 2025.02.23 |
---|---|
고용·산재보험 보수총액신고, 3월 15일까지 꼭 하세요! (0) | 2025.02.23 |
주휴수당, 주말에도 돈이 나온다고?? (0) | 2025.02.23 |
임금명세서 교부 의무, 자세히 알아봅시다! (0) | 2025.02.23 |
평균임금, 어디에 쓰일까? 💰 알고 보면 중요한 개념! (0) | 2025.02.23 |